치위생사 평균 연봉과 월급, 연차별 임금 상승 흐름 완전 정리

치과 방문이 늘면서 ‘치위생사’라는 직업이 점점 주목받고 있다.
임상 현장에서 진료를 보조하고, 구강 위생 교육까지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특히 여성 고용 비율이 높고 이직률도 낮은 안정적인 직종으로 꼽힌다.

그렇다면 실제 치위생사들의 연봉은 어느 정도인지, 연차에 따라 임금이 어떻게 상승하는지 궁금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이 글에서 2025년 기준 치위생사 급여 정보를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정리해본다.

치위생사 평균 연봉과 월급은?

치위생사는 병·의원 규모와 지역에 따라 급여 편차가 큰 편이다.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 자료, 실제 채용공고, 현직자 인터뷰 등을 종합하면 2025년 기준 치위생사의 평균 연봉은 약 2,800만 원에서 3,200만 원 수준이다.

월급 기준으로는 세전 230만 원~270만 원 수준이며, 서울 및 대형 병원일수록 평균보다 높은 급여를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1~3년차까지는 임금 상승폭이 크지 않지만, 3년차 이후부터 업무 숙련도에 따라 급여 인상이 본격적으로 반영된다.

연차별 임금 상승 추이

다음은 연차에 따른 치위생사 평균 급여 상승 흐름을 비교한 표다.

경력 연차평균 월급(세전 기준)연봉 환산(추정치)
1년차약 230만 원약 2,760만 원
3년차약 250만 원약 3,000만 원
5년차약 270만 원약 3,240만 원
7년차 이상약 300만 원 이상약 3,600만 원 이상
부장/팀장급350만 원 이상4,200만 원 이상

일반 의원급에서는 연봉 3천 중반에서 상한선이 형성되지만,
대형 병원이나 국공립기관에 근무할 경우 4천만 원 이상도 가능하다.

임금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

치위생사의 급여는 단순히 연차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아래와 같은 요소들도 큰 영향을 미친다.

1. 병원 규모 및 지역
서울 및 대도시는 인건비가 높고,
시골이나 외곽 지역은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2. 업무 범위와 전문성
스케일링, 교정, 임플란트 관리 등
특정 진료 파트에 특화된 인력은 우대받거나 인센티브를 더 받는 경우도 있다.

3. 근속 기간 및 재직 충성도
동일 병원에서 3년 이상 장기근속한 인력은
연봉 인상 외에도 복지·성과급 등의 추가 혜택을 받는 경우가 많다.

4. 면허 외 추가 자격
보건교육사, 임상심리사 등의 자격을 함께 보유한 경우,
공공기관 및 특수기관 채용에서 급여 경쟁력이 생길 수 있다.

신입 치위생사들이 자주 묻는 질문 (FAQ)

Q. 치위생사도 성과급이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나요?
네. 임플란트, 교정, 스케일링 등 실적 기반 항목에 대해
시술 건수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병원이 많습니다.

Q. 연차가 높으면 반드시 연봉도 오르나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연차만으로 급여가 오르지는 않고,
병원의 규모, 개인 능력, 업무 성과가 함께 고려됩니다.

Q. 직업 안정성은 어떤가요?
치과 진료 수요가 꾸준한 편이고, 면허직이라 고용 안정성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특히 출산·육아 후 복직률도 높아 여성에게 유리한 직종입니다.

관련 글

치위생사 평균 연봉과 월급, 연차별 임금 상승 흐름 완전 정리

댓글 남기기